서비스기획자 4

신입 서비스 기획자의 면접 (feat. 면접 리스트)

지원을 망설이지 않은 만큼, 떨어진 곳도 많았지만 면접의 기회를 준 곳들도 다행스럽게도 있었다. 면접을 위해 유튜브도 많이 찾아보고, 블로그 글도 읽어보면서 어떤 질문들이 나올지 예상해보았다. 기본적으로 자기소개, 지원동기, 이전 회사 퇴사 이유, 장단점, 기획자를 하려는 이유 등이 공통적인 질문 사항이라고 하길래 그 답변 위주로 준비를 하고, 이전 회사에서 했던 업무를 간략하게 정리를 해보았다. 예상치 못했던 질문도 꽤 많았지만, 위의 공통적인 질문은 그래도 다 나왔던 것 같다. 그리고 일여덟 번의 면접을 보면서 내가 실제로 받았던 질문들을 한 번 정리해보려고 한다. 기본 질문 (ice breaking 용) 경력 기반으로 간단하게 자기 소개 OO 회사의 퇴사 이유는? (지원한 회사)를 어떻게 알게 되었..

서비스 기획자로 취업하기

당연한 얘기지만, 서비스 기획자 강의만 듣는다고 취업 준비가 끝나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시작인 느낌이었다. 우선, 강의를 들으면서 새롭게 알게된 것들이 정말 많았고,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구글링을 하며 찾아보았기 때문에 그런 내용들을 정리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마침 실제 기업에서 협업툴로도 많이 쓰고, 개인적으로도 정리하기 좋은 소프트웨어인 '노션'을 적극 이용해보기로 했다. 노션의 장점은, 1.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어서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용도에 맞게 쓸 수 있고 2. 그만큼 자유로운 편집이 가능해서 원하는대로 구성할 수 있으며 3. 사용 가능한 블록의 종류가 정말 많아 가독성 높은 문서를 만들 수 있으며 4. 링크로 다른 사람에게 공유가 가능해서 내가 만든 워크스..

서비스 기획자가 되기 위한 준비

우선,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이 전무했기 때문에 인터넷 강의를 찾아봤다. 시작한 시점이 2022년 2월이었는데, 이 때 고민했던 서비스 기획 관련 강의는 크게 3가지였다. 1. 코멘토 직무부트캠프 5주 커리큘럼 Link 금액 : 300,000 원 수강 기간 : 5주 특장점 : 5주동안 현업에서 실무를 하는 것 같은 과제를 수행하면서 실무 능력 향상 원래는 오프라인으로도 진행됐던 강의이나,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으로만 진행을 해서 부담은 덜 했지만, 당시 기본적인 지식을 쌓기에는 이 강의가 조금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첫 강의부터 서비스 분석을 진행하는데, 나는 서비스 기획자는 무슨 일을 하는지 뭘 알아야 하는지, 흔히 말하는 스크럼, 린 등의 스타트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는 뭔지 하나하나 알아가..

서비스 기획자가 된 이유

"사회 생활 한지는 이제 5년차인데, 기획자된 건 이제 1년차예요." '몇 년차 되셨어요?' 라는 질문을 받을 때 항상 하는 대답이다. 흔히 말하는 중고신입으로 기획자의 일을 시작한지 이제 막 1년이 되었다. 저 대답에는 공통적으로 돌아오는 질문이 하나 있는데, "아 정말요? 그럼 원래 하시던 일이 어떤거였어요?" 나는 이 질문에 역시나 동일하게 원래는 서비스 운영 쪽 업무를 했었고, 고객사 담당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주로 업무를 진행하다보니 화면 설계서를 작성하고 기획에서 필요한 정책을 정의하는 등의 이런 업무는 사실상 처음이라고 대답한다. 물론 서비스 운영은 기획과 맞닿아 있는 업무라고 생각한다. 어느정도 안정기에 접어든 사업에서 해당 직무의 역할은 고객(사)의 의견을 회사 내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